독서 41

고백

- 좋아해 정윤 - 윤미루 만큼? - 내 십년 후를 생각할 때만큼. - 윤미루 만큼? - 어렸을 때 형들이랑 함께 외가에 간 적이 있어. 밤에 형들이 어딘가로 몰려가기에 나도 따라나섰어. 형들은 외사촌형과 함께 참새를 잡으러 가는 중이었어. 나는 참새들이 초가지붕 속에서 살기도 한다는 것을 그때 처음 알았어. 내 위의 형이 플래시를 비출 때 오들오들 떨던 참새가 지금도 생각나. 웬 참새들이 그렇게 많았는지. 형들은 불빛을 받으며 파르르 떠는 참새들을 잡아 양손에 쥐고 있었지. 다섯 마리를 한꺼번에 쥐고 있는 형도 있었어. 참새들은 형들의 손아귀에서 꼼짝 못했어. 나중엔 손이 모자랐어. 형이 짚 속에서 꺼낸 어린 참새 한 마리를 보더니 내 손에 쥐여주며 가지고 있어라 했어. 어둠 속에서 내 손에 쥐여진 어..

독서 2010.08.11

심리학이 연애를 말하다

심리학 관련 책을 들춰볼 때 마다 괴롭히는 두 가지 생각. 1.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심리학 책 몇 권 끼적거린 것 같고는 생각 하나하나, 행동 하나하나에서 그 이유를 찾기 위해 꼴에 별에 별 생각을 다 한다는 것. 이미 머릿속에 부유하는 나름의 논리로는 논문 열 편도 더 썼다. 2.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을 들이 밀며 심리학이란 보편적인 이야기일 수 있지만(통계를 이용한 자료를 자주 접해보니) 유독 '나' 에게나 혹은 내가 처한 상황은 조금 더 특수한 경우라며 애써 부정하는 경우(허허, 심리학에서는 이를 '긍정의 착각' 이라고 하더라). 아무튼, 그래도 심리학 책을 읽고 나면 스스로에게 많은 질문을 던져 보거나 나의 생각과 그로 인한 행동에 많은 반성을 하게 된다. 행여 ..

독서 2009.07.21

배려

배려의 다섯가지 실천 포인트 1. 배려는 상대가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다. 2. 배려는 받기 전에 먼저 주는 것이다. 3. 배려는 날마다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4. 매려는 자연스럽고 즐거운 것이다. 5. 배려는 사소하지만 위대한 것이다. 아스퍼거 : 이기적인 사람들은 남의 입장을 알면서도 자기 욕심 때문에 이기적인 행동을 하지만 아스퍼거는 아예 남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스스로를 위한 배려. 솔직하라 너와 나를 위한 배려, 상대의 관점에서 보라 모두를 위한 배려, 통찰력을 가져라 중고책 서점에서 반값에 구입한 책. 간만에 많은 생각(반성 + 블라블라블라...)을 하게 해 준 책이었다. 얼라 시절(?) "()()는 ()()다" 라는 압축놀이(?)를 즐겨 하곤 했었는데 이유는 어느 순간..

독서 2009.07.14

죽음의 중지

눈 먼 자들의 도시를 보고 감동(?) 이라고 하기는 뭐하고, 그저 작가의 상상력과 이야기를 풀어내는 솜씨에 놀라 눈 뜬 자들의 도시도 접했다. 어라, 이거 재밌다. 뭣도 모르면서 읽는 내내 괜시리 작금의 대한민국의 현실과 비스무리하게 돌아가는 듯한 이야기 전개도 흥미로웠고 실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라는 생각으로 머리를 굴려 보는 것도 쏠쏠했다. 은근히 '삶' 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거창하다) '사람이라면' 이라는 문장 앞에서 따옴표 없고 번역의 한계로 인해 가끔씩 피곤해지는 머리와 눈을 식힐 수 있었다. 죽음의 중지 역시 제목에서 느껴지는 포스와 "다음 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 라는 첫 문장에서 '오~오' 거리며 한 쪽 입술을 비스듬히 올리는 썩소를 날려가며 읽기 시작했다. 허나 기대 탓..

독서 2009.06.09

Black Like Me

옛날 영화에서만 보아왔던 흑인과 백인의 차별. 백인인 글의 저자는 간접적인 방식이 아닌, 자신이 직접 흑인이 되어 흑인과 백인간에 존재하는 장벽을 이야기한다(역시나, 똘똘하고 부지런한 사람이기에 가능한 일).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한 민족 아래 다른 인종. 허나 조금 넓은 시선에서 둘러보면 우리 역시 같은 이유로 머나먼 땅에서 온 다른 인종들을 차별하고 무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너무도 오래되어 흐물거리는 묵은지처럼 뻔하디 뻔한 한국사회의 고질병은 언제쯤,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요즘 즐겁게(!) 참여하고 있는 독서 스터디에서 이 책을 읽고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한민국 사회로 좁혀와 동남아인들을 무시하면 안되지만 조심스럽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시선과 그들이 일으키는 범법과 우리가 그..

독서 2009.03.25

읽어야 이긴다

신문을 뒤적이다 솔깃했던 책.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돌아 신촌 홍익문고에서 어슬렁 거리다 또 다시 지름신의 등장으로 26000원 어치 책을 구매해 버렸다. 아 읽을 책 산더미. 쉽게 읽을 수 있는 책. 뭐, 책을 많이 읽고 자신만의 책 읽기 노하우나 철학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별 필요 없을 것 같지만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면서도 읽히지 않는 분들,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라 독서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지 못하시는 분들이 한 번쯤 읽으면 괜찮을 만한 책이다. 그런데 뭐, 책 읽기가 별거 있나, 일단 시간 잡고 침대에 누워 한 장 한 장 펼치다 보면 이 책에 서술된 것 처럼 안 읽으면 뒤쳐지는 것 같고 이상하게 죄책감(!)도 들고. 낄낄낄. 독서의 방향에 대해서 좀 정리하자, 라는 생각은 굴뚝처럼 하고 있..

독서 2009.03.02

눈뜬 자들의 도시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서, 맹목적으로 비틀거리며 앞으로 나아가는 이 시대에, 나이가 들면서 젊었을 때 꿈꾸던 것과는 달리 돈도 많이 벌며 편안하게 살아가는 남자와 여자를 만나는 것은 아주 흔한 일이다. 그들도 열여덟 살 때는 단지 유행의 빛나는 횃불이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자신의 부모가 지탱하는 체제를 타도하고 그것을 끝내 우애에 기초한 낙원으로 바꾸어놓겠다고 결심한 대담한 혁명가들이었다. 그러나 이제 그들은 선택할 수 있는 수많은 온건한 보수주의 가운데 어느 것 하나로 몸을 덥히고 근육을 풀었다. 따라서 그들이 과거 혁명에 애착을 갖던 것처럼 지금 애착을 갖고 있는 그 신념과 관행들은 시간이 흐르면 가장 외설적이고 반동적인 종류의 순수한 자기 중심주의로 변해갈 것이다. 예의를 약간 걷어내고 말을 ..

독서 2009.01.27

블라인드 스팟

블라인드 스팟이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가리킨다. 인간의 심리에 적용시켜 인간 심리에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인 블라인드 스팟 덕분에 인간의 사고는 오류를 일으킨다고 저자는 지적하고 있다. 그 블라인드 스팟에 맞서는(?) 방법, 그리고 이겨내는 방법, 그 순간 헤쳐 나오는 방법(?)등을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는데 역시나, 사람이 자신의 맹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이유는 간단했다.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자신과 상반되는 의견을 갖고 있는 상대방의 관점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삶의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나는 좆도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눈을 돌리는 모든 곳에 배울 것이 천지라는 것을, 세상이 이렇게 많은 것을 내게 가르쳐 주고 있다는 것을 알..

독서 2007.12.21

여럿이 함께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해야 되는 게 다섯 사람의 공통된 생각이다. 우리 시대 대중의 지혜를 모아 함께 길을 가자는 뜻을 담은 이 책은 딜레마에 빠진 우리 사회가 진정 어디로 가야할지 그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근원적 성찰. 삶은 사람과 사람간의 주고 받는 피드백의 연속이라고 여기는 내게 책의 내용이 주는 감동(?)은 크게 다가왔다. 삶을 이루고 있는 사랑과 슬픔, 만남과 이별 역시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이며 그들간의 소통이다. 소통이 막힌 사회, 그리고 사람을 사람으로 바라보지 않는 사회는, 희망도 미래도 없을 것이다.

독서 2007.08.06

여럿이 함께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해야 되는 게 다섯 사람의 공통된 생각이다. 우리 시대 대중의 지혜를 모아 함께 길을 가자는 뜻을 담은 이 책은 딜레마에 빠진 우리 사회가 진정 어디로 가야할지 그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근원적 성찰. 삶은 사람과 사람간의 주고 받는 피드백의 연속이라고 여기는 내게 책의 내용이 주는 감동(?)은 크게 다가왔다. 삶을 이루고 있는 사랑과 슬픔, 만남과 이별 역시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이며 그들간의 소통이다. 소통이 막힌 사회, 그리고 사람을 사람으로 바라보지 않는 사회는, 희망도 미래도 없을 것이다.

독서 2007.08.06